RSI(Relative Strength Index) 완벽 가이드: 과매수·과매도 신호로 주식 매매 타이밍 잡기

1. RSI란 무엇인가요?

RSI(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 강도 지수)는 주가의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모멘텀 지표입니다.

RSI 값은 보통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되며, 70 이상이면 과매수(overbought), 30 이하면 과매도(oversold) 상태로 간주됩니다.

RSI는 주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조정이 올 가능성, 또는 >너무 많이 내려서 반등할 가능성을 알려줍니다.

2. RSI 계산 방법

RSI는 기본적으로 14일간의 평균 상승폭과 평균 하락폭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 RS = 평균 상승폭 / 평균 하락폭
  • RSI = 100 - (100 / (1 + RS))
💡 대부분의 차트 도구에서는 계산을 자동으로 해주기 때문에, 직접 계산하지 않아도 됩니다.

3. RSI 수치 해석

RSI 값 의미 매매 판단
70 이상 과매수 상태 매도 신호 가능
30 이하 과매도 상태 매수 신호 가능
50 부근 중립 상태 추세 판단 필요

4. RSI의 대표적인 활용법

  • 과매수/과매도 구간에서 반전 신호 포착
  • 다이버전스(Divergence) 확인: 주가는 상승하지만 RSI는 하락하면 하락 신호 (곧 추세 전환 가능성)
  • RSI 지지/저항선 확인: 특정 RSI 수치가 반복적으로 반응하는 구간을 찾아 활용
RSI가 30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올라오는 경우, 반등 신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반대로 70 이상에서 하락 전환 시에는 조정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5. RSI 사용 시 주의사항

  • 단기 변동성이 클 경우 RSI가 잦은 신호를 줄 수 있음
  • 강한 추세장에서는 RSI가 70 이상에서도 계속 상승하거나, 30 이하에서도 하락 지속 가능
  • 다른 보조지표(MA, MACD 등)와 함께 사용해야 신뢰도 향상
요약:
RSI는 주가의 힘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이며, 특히 매수/매도 타이밍 판단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단독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이동평균선이나 MACD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