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는 두 이동 평균선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추세의 방향성과 강도, 전환 시점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지표입니다.
주요 목적: 단기와 장기의 이동 평균 간 차이를 통해 추세 전환
시그널을 잡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MACD 구성요소
요소 | 설명 |
---|---|
MACD 선 | 12일 EMA - 26일 EMA (단기와 장기의 지수 이동 평균선 차이) 쉽게 말하면, 최근의 주가(12일)와 좀 더 예전 주가(26일)의 평균 차이예요. 이 선은 현재의 추세가 얼마나 강하게 움직이는지를 보여줍니다. |
Signal 선 | MACD 선의 9일 EMA (신호선) 쉽게 말하면, MACD 선의 평균적인 흐름을 부드럽게 본 선이에요. 이 선과 MACD 선이 만나는 지점이 매수/매도 신호로 자주 해석됩니다. |
히스토그램 | MACD 선 - Signal 선 (두 선의 차이를 막대 그래프로 표시) |
💡 히스토그램이 커지면 추세가 강하다는 뜻이고,
작아지면 추세 약화 신호입니다.
기본 MACD의 구성은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적 조합입니다.
MACD 선은 12일 EMA - 26일 EMA로 계산됩니다. 단기와 중기의 흐름 차이를 보여주죠.
Signal 선으로 9일 EMA를 사용하는 이유는?
너무 짧으면 잡음이 많고, 너무 길면 반응이 느려져서 9일이 균형 잡힌 기준으로 선택되었습니다.
2. MACD 신호 해석 방법
- MACD 선이 Signal 선을 상향 돌파: 매수 신호 📈 (강세 전환)
- - 매수 신호로 가장많이 쓰인다.
- - 이 교차가 발생하면, 단기 추세가 장기 추세보다 강해지고 있음을 뜻합니다.
- - 보통 이 교차점이 가장 실전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 이 교차하는 하는걸 먼저봅니다.
- - 히스토그램은 "MACD 선 - Signal 선"의 차이를 나타낸 막대그래프입니다.
- - 막대가 점점 커진다 → 추세가 강해지고 있음
- - 히스토그림은 나중에 봅니다. → 교차가 일어난 이후 "확인용"으로 사용
- MACD 선이 Signal 선을 하향 돌파: 매도 신호 📉 (약세 전환)
- - 히스토그램은 "MACD 선 - Signal 선"의 차이를 나타낸 막대그래프입니다.
- - 막대가 작아진다 → 추세가 약해짐 또는 전환 가능성
- - 히스토그림은 나중에 봅니다. → 교차가 일어난 이후 "확인용"으로 사용
3. MACD의 장점과 한계
장점 | 한계 |
---|---|
추세의 방향성과 전환 시점을 명확히 보여줌 | 횡보장에서는 신호 오류 가능성 있음 |
다른 지표(RSI, 이동평균 등)와 함께 사용하면 정확도 상승 | 후행 지표이므로 이미 추세가 시작된 후에 신호 발생 |
4. RSI와 MACD 함께 활용하기
- RSI는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빠르게 포착
- MACD는 추세 전환 시그널 제공
함께 사용하면 추세 확인 + 진입 타이밍 판단에 더욱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댓글 쓰기